이번 노회찬의 기록이야기 제목은 <기록으로 찾아가는, 노회찬의 '나라 밖 인물' 산책: 칼 마르크스에서 브라질의 룰라까지>이다. 칼 마르크스부터 브라질의 룰라에 이르기까지 '나라 밖 인물' 20여 명과의 직·간접적인 만남과 인연을 주제로 노회찬의 여정과 활동을 재구성한 것이다.
<노회찬의 나라 밖 인물 산책>은 11월 1일부터 매주 월·수·금 3번 씩 연재된다. '평등하고 공정한나라 노회찬재단'(노회찬재단)과 <프레시안>이 함께한다.편집자.
part 1 혁명 그리고 정치
① 다섯 번째 기록 이야기를 열며 (☞바로가기)
② 마르크스 上 "대한민국의 진보, 어디로 가시나이까"...노회찬, 마르크스를 만나다(☞바로가기)
③ 마르크스 下 "정치가 정치를 잊을 때, 가장 취약한 이들이 고통받는다"(☞바로가기)
④ 레닌 上 레닌의 '불꽃' 만난 노회찬, 한국사회 논쟁에 뛰어들다 (☞바로가기)
⑤ 레닌 下 노회찬, '혁명가의 길'에서 '정치가의 길'로 (☞바로가기)
⑥ 호찌민 上 "씩식한 군인이 돼 베트공 없애겠다"던 노회찬 어린이, 어쩌다? (☞바로가기)
⑦ 호찌민 下 "정적들도 그에게 정중한 조사의 말을 보내지 않을 수 없었다" (☞바로가기)
⑧ 저우언라이 上 중국 '인민의 총리' 저우언라이와 이어지다 (☞바로가기)
⑨ 저우언라이 下 "민주노동당의 '주은래' 노회찬의 꿈" (☞바로가기)
⑩ 룩셈부르크 上 '잠들지 않는 붉은 장미' 로자 룩셈부르크를 만나다 (☞바로가기)
⑪ 룩셈부르크 下 로자 룩셈부르크의 '츠비츠비', 그리고 노회찬의 '잘 놀다 간다' (☞바로가기)
⑫ 그람시 上 민주노동당의 분당, 그리고 안토니오 그람시 (☞바로가기)
⑬ 그람시 下 '시대의 반항아' 그람시와 '비주류의 비주류의 비주류' 노회찬 (☞바로가기)
노회찬, "불가능을 꿈꾼 혁명가" 쿠바의 체 게바라와 이어지다
체 게바라의 "인간·정의·진실에의 사랑"과 "부정(不正)에 대한 슬픔", 그것은 "나는 그 무엇보다도 인간이 좋다. 그래서 가장 좋아하는 칭호는 휴머니스트다. 그만큼 인간이 인간답게 살지 못하게 되는 세상에 대한 분노도 크다"(정치와평화연구소의 컴퓨터통신, <P&P 정치뉴스>와의 인터뷰, 1995.11.3.)는 '휴머니스트' 노회찬의 "함께맞는 비"와 "6411정신"과 일맥상통하는 것이 아닐까. 그런 생각으로 <체 게바라와 노회찬>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박세열과 손문상의 <뜨거운 여행: 체 게바라로 난 길>과 노회찬 : "그의 이상을 실현하는 현실적인 방식을 찾는 또 하나의 몸부림"
2010년 8월 노회찬 진보신당 대표는 한 책에 '이상을 실현하는 또 하나의 몸부림'이라는 제목의 추천사를 쓴다. 386세대 시사만화가 손문상과 88만원 세대 <프레시안> 박세열 기자의 또 하나의 '모터사이클 다이어리'인 <뜨거운 여행, 체 게바라로 난 길>(텍스트, 2010)이 그 책이다.
길지만 노회찬의 추천사를 옮겨본다. 추천사에는 체 게바라와 함께 칠레의 아옌데, 베네수엘라의 차베스, 브라질의 룰라 등의 이름도 살짝 등장한다. 이 가운데 아옌데와 룰라 두 사람은 노회찬이 앞으로 만나게 될 사람들이다.
'출판사 서평'은 책을 이렇게 소개하고 있다.
70일간의 남미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박세열은 이렇게 말했다.
손호철의 <카미노 데 쿠바: 즐거운 혁명의 나라 쿠바로 가는 길)> : "고 노회찬 의원에게 전하는 보고서, 마음으로 함께 한 두 명의 동행"
피델 카스트로와 체 게바라가 이끈 사회주의 무장 혁명가들이 6년에 가까운 싸움 끝에 1959년 1월 1일, 정부군을 몰아냈다. 한 줌 혁명가들에 의해 쿠바는 사회주의 국가가 됐다.
정치학자 손호철 서강대 명예교수가 쿠바를 일주해, 그 경험을 정리한 책 <카미노 데 쿠바: 즐거운 혁명의 나라 쿠바로 가는 길)>(이매진, 2019)을 펴냈다. 쿠바혁명 루트를 따라가는 여행길이었다. 60년 전 피델과 체의 이동 경로 그대로 산티아고데쿠바로부터 시에라마에스트라, 산타클라라, 아바나로 이어졌다. (이들 코스 중간에 혁명과는 상관없는 도시인 히론, 마탄사스도 포함된다. 히론은 미국이 쿠바 혁명 정부를 무너뜨리려 획책한 피그 만 침공의 현장이다. 마탄사스는 일제 강점기 많은 한국인이 이민해 정착한 도시다.)
쿠바로 가는 길을 함께 하지는 않았지만 손호철이 마음으로 함께 한 두 사람이 있었다. 한 사람은 라틴아메리카 전문가일뿐 아니라 '백과전서파'로 불릴 정도로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자랑하던, 너무 빨리 세상을 떠난 후배 정치학자 故 이성형 박사였다.
이성형의 대표 저서 가운데 하나인 <배를 타고 아바나를 떠날 때>(창비, 2001)의 1부 '카리브해의 유혹: 쿠바 기행'은 쿠바인들의 눈에 비치는 체 게바라의 모습, 미국의 무자비한 경제봉쇄정책, 봉쇄기의 굶주림을 견디는 쿠바인들의 닭고기 요리법, 까스뜨로의 카리스마와 자신감, 어린 모세 엘리안 사건과 미국-쿠바간의 갈등, 새로이 빛을 발하는 쿠바의 음악의 저력 등을 담고 있다.
이성형 이화여대 교수는 2009년, '인터넷 혁명 시대에, 사이버 게릴라가 창궐하는 이 시대에 왜 사람들은 40년 전에 세상을 떠난 체 게바라를 그릴까?', '왜 하필이면 체 게바라일까?'를 묻고는 이렇게 답했다.
손호철의 쿠바 여행에 마음으로 함께 한 또 다른 한 사람은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며 외로운 길을 함께 걸어온" 노회찬이었다. 손호철은 이 책을 '잔존 사회주의 국가 쿠바에 함께 가려던 고 노회찬 의원에게 전하는 보고서'로 정의하면서 이렇게 적었다.
손호철이 함께 가지 못해 아쉬워했던 이성형과 노회찬은 2009년 서울 노원구 상계동 마들연구소(이사장 노회찬)에서의 만남을 시작으로 인연을 쌓았다. 이성형 서울대 라틴아메리카연구소 HK교수는, 그해 11월3일 열린 15회 명사초청특강에서 '한 잔의 커피에 담긴 세상 이야기'를 주제로 '중남미, 창조와 변용을 수반하는 뒤섞임과 다양성의 문화'에 대해 청중들과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불가능을 꿈꾼 혁명가" 체 게바라는 누구?
'쿠바'하면 빠지지 않고 떠올려지는 인물. 바로 에르네스토 체 게바라(Ernesto "Che" Guevara, 1928.6.14.~1967.10. 9.)다. 살아있을 때보다 죽어서 더 유명해진 인물이다.
1492년 콜럼버스에 의해 발견되기 전까지 쿠바는 평화로운 나라였다. 이후 스페인의 식민지가 되면서 노동력을 착취당하고, 아프리카의 수십만 노예들이 수입되고, 정치와 경제가 자리를 잡지 못하면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 때 체 게바라가 나타난다. 체 게바라는 아르헨티나 출신으로 의학을 공부한 의사였다. 그러나 의사로서 개인의 안정적인 삶보다는 대의를 위해 쿠바로 건너가 쿠바혁명전쟁에 참여하게 된다. (김명섭, 「[김명섭 교수의 커피이야기] 57. 크리스털마운틴 커피」, <강원도민일보>, 2020.3.28.)
베레모를 눌러쓰고 입가에 잔잔한 미소를 머금은 채 쿠바산 시가를 피우며 먼 곳을 응시하고 있는 모습. 잘생긴 외모까지 더해져 체 게바라는 지금도 '살아있는 신화'이다. 동·서양 할 것 없는 체에 대한 숭배 열풍은 그의 전기와 영화는 물론 티셔츠와 온갖 사진, 모자, 엽서, 심지어 속옷에도 새겨져 있다.
체 게바라는 쿠바 안에서도 인기 있는 인물이었다. 호세마르티 공항에서 만난 택시기사에서부터 여행하는 동안 만나는 사람마다 체 게바라에 대해 물으면 그저 '멋진 사람!'이란 말이 되돌아온다. (안정숙 기자, 「3. 라틴아메리카 개혁의 이념적 지도자」, 용인시민신문, 2006.5.7.)
"20세기 가장 완전한 인간."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 사르트르가 체 게바라를 표현한 말이다.
체 게바라의 본명은 에르네스토 게바라 데 라 세르나(Ernesto Guevara de la Serna). 어려서부터 책 읽기를 아주 좋아했고 특히 칠레의 저항시인 파블로 네루다의 시들을 외우곤 했다. 평생 천식에 시달리는 등 몸이 약했지만 수영, 축구, 골프, 사이클, 럭비 등에 뛰어난 만능 스포츠맨이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의대에 진학한 체 게바라는 1951년 12월부터 다음 해 7월까지 500cc 중고 오토바이(힘센 녀석'이라는 뜻의 '라 포데로사 II')를 타고 남아메리카 여행을 떠났다. 이 여행은 그의 인생을 송두리 채 바꿔놨다. 여행 중에 목격한 민중의 비참한 삶, 그에 대한 슬픔과 분노는 그를 혁명가의 길로 이끌었다.
혁명운동을 모색하던 체 게바라는 멕시코에서 카스트로 형제를 만난다. 그리고 쿠바 혁명에 합류해 산타클라라 전투에서 승리하며 혁명을 성공으로 이끌었다.
이어 1956년 12월 2일, 피델 카스트로와 체 게바라 등 82명의 혁명가들은 요트 그란마 호를 타고 쿠바 시에라 마에스트라에 도착했다. 시에라 마에스트라 산맥으로 이동하는 중 12명만이 살아남았다. 살아남은 이들은 다시 세를 규합, 2년 뒤인 1959년 1월 1일 아바나를 완전히 점령했다.
쿠바 혁명에 성공한 뒤 체 게바라는 국립은행 총재와 농림장관 등 요직을 거친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한 통의 편지만 남긴 채 또 다시 혁명의 길로 뛰어들었다.
'제3세계의 해방은 결국 제3세계 스스로 달성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 체 게바라는 1965년 다시 게릴라 전사가 돼 아프리카 콩고에서 활약했다. 잠시 쿠바에 들렀다가 최종 목적지로 향한 곳은 중남미대륙의 볼리비아였다. 그는 "혁명은 개인보다 중요하고, 개인은 세계 어디든 부정이 있을 때 이와 맞서 싸워야 한다"는 신념으로 볼리비아 정글 속으로 뛰어들었다.
하지만 낯선 땅에서 변변찮은 무기도 지원군도 없는 투쟁은 그리 오래 버티지 못했다. 2년 뒤인 1967년 10월 9일, 미국 CIA와 볼리비아군의 합동 작전에 의해 생포된 그는 39살이라는 젊은 나이로 총살당했다. 가슴 속에 항상 불가능한 혁명을 꿈꾸던 영원한 혁명가 체 게바라는 혁명의 정신을 남기고 영원한 여행길로 떠났다.
"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 속에는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
※ 쿠바 사람들 사이에 게바라는 '체(Che)'로 불린다. '체'는 2인칭 단수로 아르헨티나 사람들이 '이봐, 자네'와 같은 의미로 붙이는 말로, 게바라가 대화를 할 때 습관적으로 이 단어를 자주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2012년 11월 29일 개봉된 트리스탄 바우에르 (Tristan Bauer)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체 게바라: 뉴맨(Che. Un hombre nuevo)>의 시놉시스는 이렇게 소개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