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9월 11일 18시 02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李대통령 "배우자 상속공제 완화, 이번에 처리…공약이니 지켜야"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후보 시절 공약했던 배우자 상속공제 완화 조치에 대해 이번 2026년도 세법 개정안에 포함시켜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이 나오자 "공약했으니 말했으면 지켜야 한다"며 "제가 잊어버리고 있었는데 잘 지적해 주셨다"고 하고는 김용범 정책실장에게 검토를 지시했다. 김 실장이 "(민주당)
곽재훈 기자
조국혁신당, '성추행 파문' 후 비대위원장에 조국 임명
조국혁신당이 당내 성추행 사태로 공석이 된 지도부를 대신할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에 조국 전 대표를 임명기로 결의했다. 조 신임 비대위원장은 당의 결정을 수용하며 "당을 대표해서 피해자분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조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후 당 당무위원회가 본인에 대한 비대위원장 선출안을 의결한 직후 입장문을 통해 "창당 때보다 더 무거운 마음으로
한예섭 기자
李대통령 "아들 인생 망쳐놔", "저한테 불리한 건 막 쓰더니" 언론에 불만
박정연 기자
장동혁, 李대통령 100일 회견에 "차린 밥상에 숟가락 얹기 바빠"
김도희 기자
국민의힘, '후보 교체 파동' 징계 않기로…솜방망이 넘어 無방망이
李대통령 "대형참사, 주로 보수정권에서 발생"
李대통령 "내란특판, 왜 위헌인가…입법부 통한 국민 의지 존중해야"
李대통령 "과거사 외면 않겠지만 한일관계는 투트랙"
임경구 기자
李대통령, 檢 보완수사권 '유지'로?…"구더기 싫다고 장독 없애나"
이재명 대통령이 정부·여당의 검찰개혁 관련 최대 쟁점으로 꼽히는 '검찰 보완수사권 완전 폐지' 여부와 관련해 "구더기가 싫다고 장독을 없애면 되겠는가"라며 "구더기가 안 생기게 악착같이 막아야지 아예 '장을 먹지 말자, 장독을 없애버리자' 이러면 안 된다"고 말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완전 폐지' 의견과 달리, 보완수사권 일부 유지 의견을 시사한 셈이
李대통령 "언론중재법, 언론만 타깃은 아냐…'가짜뉴스' 유튜브, 가만 놔둬야 하나"
李대통령 "내란특검 조건으로 정부조직법 통과, 원치 않는다"
李대통령 "美구금자 오후 3시 출발…관세협상 이면합의 없다"
李대통령 "주식양도세 기준 '50억 → 10억' 고집할 필요 없다"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대상인 '대주주' 자격을 현행 5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강화하는 안에 대해 "굳이 고집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주주 기준을 낮추며 과세 대상을 확대해 세수 기반을 확충하고, 과세 형평성을 강화하는 등 정부의 세제 개편안을 두고 여당 내에서도 반대 의견이 나오자 이 같은 태도를 비친 것이다. 이
'트럼프가 잔류 권해 지연' 정부 설명에도…장동혁 "李대통령이 매를 벌었다. 특검 농단밖에 없어"
李대통령 "'모두의 대통령' 약속 따라 통합 정치로 나아가겠다"
내쫓으려고 단속할 땐 언제고, 이제는 남아라? 오락가락하는 트럼프에 美 신뢰 곤두박질
이재호 기자
정욱식 칼럼 안보리 의장국에 APEC 주최까지…중심에 선 한국, 전환시대의 논리 찾아야
한국 외교의 가장 큰 숙제 가운데 하나는 '한반도 비핵화 딜레마'를 푸는 데에 있다. 비핵화 원칙 고수와 이것이 불가능해진 현실 사이의 괴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 9월 3일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중국의 전승절 장면도 이러한 맥락에서 짚어볼 필요가 있다. 천안문 망루에 올라선 26개국 정상 가운데 핵보유국 지도자는 세 명이었다. 주최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 겸 한겨레평화연구소장
민주당 반발에…여야 원내대표 '3특검 합의' 원점으로
곽재훈 기자/김도희 기자/한예섭 기자
정청래 "경기도 4.5일제, RE100 잘됐으면"…김동연 "'당정대경' 원팀"
김성태 "패널인증제? 웃고 넘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