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을 돌아보면 전북특별자치도청은 자정능력을 상실한 '부패백화점'이라는 오명을 쓴 한 해인 것 같습니다."
13일 열린 전북자치도의회 제415회 본회의장'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동구 도의원(군산2)이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김관영 도정에 직설한 내용의 한 대목이다.
전북도청의 인적쇄신과 재발방지 대책을 촉구한 김동구 도의원은 이날 "고위공직자들의 갑질과 폭언, 비위, 업무해태, 일탈 등으로 도정에 대한 도민의 신뢰가 땅에 떨어졌다"고 일갈(一喝)했다.

그는 "소속 직원들의 사기저하 등으로 새롭게 출범한 전북특별자치도의 100년 대계를 리드하기는커녕 여전히 구태에서 벗어나지 못한 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며 "더 심각한 문제는 일부 고위공직자들이 위법 행위로 처분을 받은 뒤에도 반성과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주장했다.
김동구 전북도의원은 전북도 산하 출연기관의 한 기관장을 언급하며 "업무 해태와 규정 위반 정도가 너무 심각해 즉각적인 조치를 요구하는 상황"이라며 "기관장 임기 21개월간 외부강의 횟수 120회로 기관 업무는 뒷전으로 한 채 납득할 수 없는 외부 출장과 출강으로 이사회에서 2차례나 기관장 경고를 받았다"고 강하게 문제를 제기했다.
이 기관장은 올해 11월 행정사무감사에서도 방만운영과 업무미진으로 강한 지적을 받았음에도 자성을 하기는커녕 행정사무감사 직후 보란 듯이 외부 강의 규정을 위반했다.
김동구 도의원은 "솔선수범해서 법과 규정을 준수해야 할 고위공직자와 출연기관장의 이런 행태는 조직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이번 사태를 단순히 넘어가지 않고, 이를 계기로 고위공직자의 청렴성과 책임 의식을 높이기 위한 근본적인 비위 근절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직 내에서 부정행위가 확인된 직원들에게는 엄정하고 공정한 조치를 통해 공직사회의 투명성과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김동구 도의원은 "법과 규정을 무시하는 고위공직자와 기관장에 대해서는 강도 높은 인적쇄신을 통해 조직 내부의 혼란을 방지하고 공직 기강을 바로 세워야 한다"며 "도지사가 책임 있는 리더십을 통해 조직의 기강을 새롭게 다지고 도민의 신뢰를 되찾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