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의 핵심으로 떠오르는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취임과 함께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전재수 장관은 2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갖고 정책 방향에 대해 밝혔다. 그는 먼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계기로 행정과 산업, 금융 기능을 한데 모아 북극항로 시대를 준비하는 해양 전진기지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해수부 부산 이전에 대해서는 "해양을 기반으로 대한민국에 새로운 성장 엔진을 장착하는 국가 전략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단순히 자리를 옮기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새로운 해양 수도권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처 이전에 따라 생활 터전을 옮겨야 하는 해수부 직원들에게는 "이전보다 더 나아질 수 있도록 정주 여건부터 생활 기반까지 세심하게 살피겠다"고 약속했다.
전 장관은 "수산업을 지속 가능한 미래 산업으로 바꾸겠다"며 "연근해 어업은 총허용량 관리 체계로 혁신하고 양식업은 스마트 전환으로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수산물 물가를 살펴 국민 삶에 힘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해운항만을 K해양강국의 전략 산업으로 키우겠다"고 약속했다.

전 장관의 첫 공식 일정은 오는 25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부산에서 열리는 타운홀 미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행사에서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개척 등 이 대통령의 부산 지역 주요 공약이 주제로 다뤄진다. 전 장관은 이날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비롯한 이재명 정부의 해양수산 정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할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0대부터 22대 총선까지 내리 3선을 한 전 장관은 지난 대선 과정부터 북극항로개척추진위원장을 맡으며 해수부 이전을 포함한 이 대통령의 부산 지역 관련 해양수산 공약에 깊숙히 관여해왔다. 장관 후보자 신분으로 해수부 이전 반대를 외치던 노조의 단식 농성 현장을 찾아 전향적인 입장 변화를 이끌어내면서 정책 추진력도 확보했다는 평가다.
부산시도 이에 발맞춰 전담직원 파견, 원스톱행정지원 TF 구성 등 행정지원에 나서면서 해수부의 연내 이전을 위한 정책협의회를 가동했다. 지난 23일에는 성희엽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이 김성범 해수부 차관을 만나 해수부 직원들의 정주 여건, 보육시설, 교육환경 등 실질적 협력과제를 중심으로 한 논의를 가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