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가덕도는 NO, 벡스코는 OK?" 현대건설에 부산시민 분노 폭발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가덕도는 NO, 벡스코는 OK?" 현대건설에 부산시민 분노 폭발

가덕도 판 깨고 벡스코 뛰어들어...부산시가 입찰 제제 해야

현대건설이 가덕도 신공항 부지조성사업에서 철수한 지 한 달도 채 안 되어 벡스코 제3전시장 2900억 원대 공공입찰에 참여 의사를 밝히자 부산시민과 정치권에서 분노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반복된 안전사고와 중대재해로 "사업자 자격이 있는가"라는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시 차원의 입찰 제한이나 제재 조치가 전무하다는 점이 특히 도마 위에 올랐다.

23일 부산시의회 전원석(사하구2) 시의원은 "가덕도 공항을 좌초시킨 현대건설이 책임 없이 또 다른 대형 사업에 입찰하려 한다"며 시를 강하게 비판하며 "부산시는 입찰 전에라도 자체적인 제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입찰 제한 여부도 모른 채 '나라가 알아서 할 일'이라며 손 놓고 있는 건 행정 편의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고 날을 세웠다.

▲가덕도신공항 조감도.ⓒ국토교통부

현대건설은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며 가덕도 사업에서 물러났지만 지역 여론은 '책임 회피용 단체행동'이라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 이재명 대통령도 더불어 민주당 대선후보였던 지난 5월 31일 "네 차례 유찰 끝에 정해지는 순간 컨소시엄에서 빠진 것은 유감"이라며 공개적으로 유감을 표명했다.

또한 중대재해처벌법 대상인 현대건설은 올해 7월 16일 경기도 오산의 옹벽 붕괴 사고로 일반 시민 사망까지 발생하며 전국적 공분을 샀다. 이번 사건을 포함해 총 9건의 중대재해 법 적용 사례가 존재하고 경찰은 본사와 책임자 등에 대한 압수수색 수사 중이다.

특정 사건이 아닌 구조적 문제라는 비판도 거세다. 수년간 반복된 현장에서의 부실 관리와 안전 불감증이 지금의 사태를 낳았으며 이에 대한 부산시의 무대응은 책임을 방기하는 것과 다름없다는 여론이 확산되는 중이다.

이를 지켜보는 부산시민들은 "이런 기업에 또 공공사업을 맡긴다면 누가 다음에는 신뢰하고 일감을 줄 수 있겠느냐"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윤여욱

부산울산취재본부 윤여욱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