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이공계 연구생활 장려금 지원사업'에 전북대학교가 신청하지 않은 가운데 이 대학의 한 의과대 교수가 실명을 내걸고 관련 사업의 '추가 선정 직무 수행'을 대학 집행부에 촉구하고 나서 관심을 끈다.
홍성출 전북대 미생물학과 교수는 최근 대학 전 교직원이 볼 수 있는 내부 게시판인 '코러스'에 '전북대 집행부는 이공계 연구생활 장려금 지원사업'에 추가로 선정될 수 있도록 직무상 의무를 충실히 수행할 것을 촉구한다'는 글을 올렸다.
홍 교수는 해당 글에서 "과학기술의 중요성 때문에 정부는 최근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매달 80만~110만원을 지급하는 '이공계 대학원생 연구생활 장려금 지원사업'을 시작했다"며 "정부가 대학 발전을 위해 각 대학에 신청을 독려했고 이 사업을 신청한 대학은 전부 선정해주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 주요대학을 포함하여 공주대, 한밭대 등과 같이 대학발전에 관심 있는 모든 대학들은 이 사업에 선정됐다"며 "국내 주요대학 중 이를 신청하지 않은 대학은 전북대가 유일할 지경"이라고 주장했다.
홍성출 교수는 "이공계 대학원에서 발표하는 논문은 국내외 대학평가에서 순위를 좌우하고 있다"며 "집행부가 전북대 발전에 진심이라는 개념이 있다면 대학의 미래에 중요한 사업을 신청조차 하지 않는 직무유기는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홍성출 교수는 "이유야 어찌 되었든 현 정부는 가능한 신청대학에 모두 지원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다"며 "전북대 집행부에 정부와 소통해 전북대도 '이공계 연구생활 장려금 지원사업'에 추가로 선정될 수 있도록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전북대는 이와 관련해 "정부의 관련 사업은 대학이 신청을 위해 준비할 시간적 여유가 없을 정도로 급박하게 진행됐다"며 "취지는 공감하지만 제도를 개선해야 할 사항이 있어 신청을 뒤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손정민 전북대 산학협력단장은 "올 상반기에 신청해 선정된 대학이 국내 29개이지만 실제 장려금을 지급 개시한 대학은 극소수인 것으로 안다"며 "제도적 문제를 인지하고 있는데 신청을 한다면 제도를 인정하는 꼴이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과기부의 '이공계 연구생활 장려금 지원사업'은 지난해 8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은 후 올해 2월 11일 공고를 냈고 29개 대학(600억원 지원)이 신청해 모두 선정됐다.
과기부는 또 지난 6월 20일에 올 하반기 공고를 내고 이달 21일까지 지원(56억원) 접수를 받았지만 전북대는 두 차례 모두 신청하지 않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