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서 금액별로 색상을 다르게 표기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선불카드가 지급돼 이재명 대통령이 '인권 감수성 부족'을 언급하는 등 논란인 가운데 부산시도 선불카드에 금액을 표기해 지급했다가 뒤늦게 수습에 나섰다.
<프레시안>의 취재를 종합하면 부산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대상자 320만여 명 가운데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이 충전된 선불카드를 희망하는 시민들에게 지급할 100만 장을 지난 7일 발주했다. 이 가운데 80만장을 찍어내 18일부터 이날까지 총 60만장을 16개 구·군에 지급했다.
부산시 마스코트인 '부기'가 들어간 선불카드는 종별로 각각 18만원, 33만원, 43만원이 기재됐다. 부산시에 따르면 이는 직원들의 실수를 방지하고 받았을 때도 금액 확인이 용이하게 하려는 취지였다. 그러나 선불카드에 적힌 금액으로 소득 수준을 알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소득에 따라 지급 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부산시 중소상공인지원과 관계자는 "카드 제작에 빨라도 3~4주가 걸린다고 해 급하게 제작에 들어갔다. 배포와 관리에 있어 실수를 줄이고자 금액을 표기했다"면서 "구분을 하고자 했지만 결과적으로 차별이 됐다. 간과한 부분"이라고 고개를 숙였다. 타 시·도와 다르게 지역화폐 방식의 선불카드를 채택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시간과 현장 상황을 고려했을 때 최선의 방향이었다"고 설명했다.
부산시는 이미 제작된 선불카드와 재발급시 발급되는 카드에 스티커를 붙여 배포하기로 했다. 받았을 때 금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급 후 스티커를 붙이고 희망할 경우 기배포된 카드에도 스티커를 배포한다는 것이 부산시의 설명이다. 추가 제작되는 20만장은 금액을 삭제해 배포할 계획이다.
지난 21일부터 지급이 시작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모든 국민에게 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된다. 비수도권에 해당하는 부산은 1인당 3만 원이 추가로 지원돼 일반 시민은 18만원, 차상위계층·한부모가정은 33만원, 기초생활수급자는 43만원을 1차 지급받는다. 신청은 온오프라인 모두 가능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