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홀딩스가 2025년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철강 수요 부진 속에서도 실적 개선 기조를 이어갔다.
회사에 따르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17조 5560억 원, 영업이익은 6070억 원, 순이익은 840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분기 대비 매출 1190억 원(+0.68%), 영업이익 390억 원(+6.87%) 증가한 수치로, 2분기 연속 이익 개선 흐름을 보였다.
철강사업 부문은 국내외 판매량 확대와 함께 철광석 및 원료탄 가격 하락이 긍정적으로 작용해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35.6% 증가한 6100억 원을 기록했다. 포스코(별도 기준)는 영업이익률 5.7%를 달성하며 2023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분기 실적을 나타냈다. 회사 측은 설비 효율화와 에너지·원료비 절감, 생산 공정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이 실적 회복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포스코홀딩스는 향후에도 고부가가치 제품 확대,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 수소환원제철 상용기술 개발 등을 통해 철강 부문의 본원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방침이다.
이차전지소재사업은 리튬 가격 하락과 신규 공장 가동에 따른 초기 비용 반영으로 일시적인 수익 감소를 겪었으나, 리튬 직접추출 기술 개발과 원료 공급망 내재화, 유상증자 등을 통해 중장기적 경쟁력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회사는 이차전지 시장이 본격 성장세에 접어들 것에 대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인프라사업 부문에서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가스전과 팜농장 등에서 꾸준한 이익을 내고 있으나, 포스코이앤씨의 건설 원가 상승 영향으로 전체 수익은 감소했다.
포스코홀딩스는 또한 저수익·비핵심 자산에 대한 구조조정을 통해 상반기 동안 총 11건의 구조개편을 마무리하며 약 3500억 원의 현금을 확보했다. 하반기에는 47건의 추가 구조개편을 통해 약 1조 원의 현금 확보를 목표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그룹 전반의 재무건전성 강화와 기업가치 제고에 주력할 계획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