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경기도민 92.5%…"정년 연장 등 '계속고용' 필요"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경기도민 92.5%…"정년 연장 등 '계속고용' 필요"

경기도일자리재단 조사, 응답자 대부분 '계속고용'에 긍정정…희망 근로 연령은 평균 67.74세

경기도민 92.5%가 정년 이후에도 일할 수 있는 계속고용제도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희망하는 평균 근로연령은 67.74세로 조사됐다.

계속고용제도는 사업주가 정년을 연장 또는 폐지하거나, 정년의 변경 없이 정년에 도달한 근로자를 계속해 고용하거나 퇴직 후 재고용하는 방식으로 고령 근로자의 고용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도는 경기도일자리재단이 지난 6월 2일부터 8일까지 관내 거주 만 25세 이상 59세 이하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도민 정년연장 등 계속고용 인식조사'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정년연장 △퇴직 후 재고용 △직무능력 향상 △정책 우선순위 등 계속고용과 관련된 다양한 항목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년연장에 대한 기대효과는 '고령근로자 생활안정(64.0%)'이 가장 높았고, '사회적 부양비용 감소(42.6%)', '연금재정 개선(35.0%)'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년층 신규채용 감소(47.6%) △일부 대기업·공공기관에 혜택 집중(35.2%) △기업 인건비 부담 증가(26.3%) 등이 주요 우려 요인으로 꼽혔다.

ⓒ경기도

특히, 이번 조사 결과 정년연장의 기대효과와 계속고용 방식에서 세대 간 뚜렷한 인식 차이가 드러났다. 2~30대는 사회적 부양비용 감소와 연금 재정에 도움에 비교적 높은 기대를 보였으나, 4~50대는 고숙련 활용 및 노하우 전수, 노동력 부족 해소 등에서 기대감을 나타냈다. 계속고용 방식에서도 2~30대는 퇴직 후 재고용을 선호한 반면, 4~50대는 안정적인 정년연장을 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퇴직 후 재고용과 관련해서는 '공정성'과 '임금수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됐다. 재고용 시 가장 중요한 선정기준으로 '직무수행능력(71.1%)'과 '건강상태(36.9%)'를 꼽았다.

김윤중 경기도일자리재단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를 통해 높은 계속고용 시행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과 기대는 물론 청년층과 중소기업의 부담과 우려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계속고용 시행에 있어 청년층의 신규채용 감소와 승진 제한 등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중고령 근로자의 노동시장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을 동시에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 자료는 경기도일자리재단 누리집의 '정책연구' 코너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일자리연구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안순혁

경기북부취재본부 안순혁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