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소득층 아동에게 지급되는 아동급식카드가 ‘복지’가 아니라 ‘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비판이 전북도의회에서 제기됐다. 결제할 때마다 지원 아동임이 드러나 아이들에게 상처를 준다는 지적이다.
황영석 전북도의원(김제2, 더불어민주당)은 9일 열린 제421회 전북도의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전주·정읍·남원·김제 등 4개 시가 운영 중인 아동급식카드 가운데 일부는 앞면에 ‘아이푸드카드’ 문구가 새겨져 있다”며 “아동이 식당에서 카드를 꺼낼 때마다 수급 사실이 노출돼 주눅이 들고 사회적 고립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황 의원은 “낙인은 단순한 문구 문제가 아니라 아이들의 마음에 새겨지는 상처이자 한 가정에 드리워진 그림자”라며 “행정 편의가 아니라 아이들의 존엄을 최우선에 두는 복지정책이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서울·부산·광주 등은 이미 일반 신용카드와 동일한 디자인을 적용해 외부에서 구별할 수 없도록 개선했다”며 “전북도 역시 ‘아이푸드카드’ 명칭을 즉시 삭제하고, 지원 여부가 드러나지 않는 중립적 디자인으로 교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정읍을 제외한 3개 시의 아동급식카드에서 문제 문구가 확인됐다”며 “도는 이미 중립적 디자인으로 변경할 것을 권고했고, 해당 지자체에서 재제작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어 “앞으로 아동 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 아이들이 차별받지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황 의원은 끝으로 “복지는 혜택이 아니라 권리”라며 “아이들이 도움을 받을 때 주눅 들지 않고 당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진정한 복지의 목표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