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노동조합이 오는 10월 열리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를 앞두고 사장 공백 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노조는 11일 입장문을 통해 "ADEX는 단순한 전시회가 아니라 전 세계 30여 개국 정부 대표단과 글로벌 방산기업 CEO들이 모여 수출 계약과 협력을 논의하는 자리이다"며 "KAI가 대표이사 대행 체제로만 참가한다면 국제 무대에서 '최고 책임자 없는 회사'로 비쳐 국가적 망신을 자초하게 된다"고 밝혔다.
특히 노조는 대표이사 대행 체제의 한계를 지적했다. 해외 주요 고객과 협력사들은 최고 의사결정권자와의 직접 만남을 기대하지만 대행 체제는 최종 결정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노조는 "한화·LIG 등 경쟁사들은 CEO가 직접 나서는 상황에서 KAI만 대행 체제로 임하면 국제 신뢰 추락과 방산 수출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이다"고 우려했다.
이번 ADEX는 KAI의 핵심 수출 사업인 KF-21·FA-50·소형무장헬기를 전면에 내세우는 자리라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노조는 "사장 공백이 계속된다면 수출 협상은 지연되고 파트너십 논의는 표류할 수밖에 없다"며 "이는 단순한 기업 문제를 넘어 정부의 방산 수출 확대 전략에도 차질을 빚는 국가적 위기이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정부를 향해 "더 이상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ADEX 전까지 조속히 새로운 사장을 선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만약 정부가 결단을 내리지 못한다면 차라리 그 권한을 노동자에게 위임하라 노조가 조합원과 함께 KAI의 미래를 책임질 리더를 선출할 것이다"며 강경한 입장을 내비쳤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