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벌목·지리산 등 전북도정의 개발 정책과 관련해 시민단체가 사업 중단을 요구하며 기후위기 대응 전환을 촉구했다.
전북지역 60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1129 전북기후정의행진 추진위원회’는 4일 오전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북도정은 낡은 기득권 정치로 도민들의 열망을 짓밟지 말고 개발 허상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전주 시민 김누리 양은 현장 발언을 통해 “지난 3년 동안 전주천과 삼천, 덕진공원에서 시민 동의나 생태협의회 약속도 없이 무분별한 벌목이 강행됐다”며 “전주시는 홍수 예방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나무는 유속을 줄이고 제방을 보호하며 도심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결국 미적 경관을 이유로 생명을 훼손하는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추진위는 “기후재난이 일상화된 시대에 전북도정은 여전히 개발과 성장을 내세우며 도민의 열망을 짓밟고 있다”며 “이재명 정부가 ‘국민주권 시대’를 열겠다고 했음에도 전북도정과 정치권은 여전히 개발과 성장이라는 허상에 사로잡혀 있다”고 주장했다.
추진위는 새만금 상시해수 유통, 새만금 신공항, 345kV 초고압 송전선로, 지리산 국립공원 내 개발, 고창·영광 한빛핵발전소 수명연장, 전주시 벌목사업, 익산 만경강 수변도시 개발 등의 사업들이 “도민 삶의 터전과 생태환경을 파괴하며 기후위기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추진위는 또 “새만금 사업은 35년 째 실패한 신기루를 쫓으며 어민 공동체를 파탄냈고 새만금 신공항은 무안공항보다 650배 높은 조류 충돌 위험과 미군기지 확장 우려에도 강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345kV 송전선로 건설은 수도권 전력 공급을 위해 전북의 산과 들을 희생시키고 있으며 창-영광 한빛 노후핵발전소 수명연장 절차에 대해 전북은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미래 세대에 물려줄 지리산 국립공원 자연유산은 산악열차·케이블카 등 무분별한 개발로 위협받고 있다”며 “낙후된 것은 전북의 경제가 아니라 정의로운 전환을 요구하는 도민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정치”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