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천안시의회(의장 김행금)가 ‘천안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민과 함께 길을 묻다’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고 4일 밝혔다.
전날 천안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토론회는 노종관·권오중·유수희 의원이 공동 주최했으며, 시의원과 교통 전문가, 버스업계 관계자, 시민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노종관 의원(건설교통위원장)은 “대중교통은 시민의 발이자 도시의 기본 인프라”라며 “오늘 토론회를 계기로 시민의 교통권을 보장하고 공공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도한영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발제에서 “준공영제의 핵심은 세금투입 구조의 투명한 관리”라며 교통취약지역 중심의 단계적 도입과 시민참여형 감시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는 재정부담과 관리체계 확립의 필요성이 집중 논의됐다.
김태종 천안시 대중교통과장은 “이미 연 493억 원이 투입되는 상황에서 추가 예산은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정범 대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성과 중심의 지원체계와 효율적 노선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정아 아주대 교수는 “회계 공유시스템 등 제도 기반 마련이 선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준태 새천안교통노조지부장은 “고용안정과 노·사·정 협의구조가 함께 보장돼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들은 교통편의 개선과 보조금 집행의 투명한 공개를 요구했다. 한 시민은 “25분 거리도 버스로는 한 시간이 걸린다”며 노선 불편을 지적했고, 또 다른 시민은 “수백억 원의 세금이 투입되는 만큼 집행 내역을 시민이 알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권오중 의원은 “오늘 제기된 의견들이 천안형 준공영제 설계에 반영될 수 있도록 의회가 적극적으로 역할하겠다”며 “시민과 함께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