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11월 05일 12시 5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손가영
bada@pressian.com
딸이 죽고 36시간 굶어도 카메라 놓지 못한 팔레스타인 기자들
알자지라 다큐 <포화 속의 아이들> 취재진 방한 "이스라엘의 아동 살해, 미국은 외면했다"
'지난 2년간, 이스라엘군은 가자지구 아이들을 표적 살해했다.' 지난 3월 공개된 다큐멘터리 <포화 속의 아이들(Kids Under Fire)>에 나온 미국 주재 의사 20명의 증언이다. 2023년 10월 7일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침공한 이후 가자지구에서 의료 지원 활동을 했던 이들이다. 이스라엘의 지난 2년 집단학살 이래 가자지
손가영 기자
고향으로 돌아가려 돈 벌던 유학생이 단속 피하다 죽는 사회
[APEC 단속, 이주민의 죽음] 下 유학생 숨통 옥죄는 비자제도
"숨어 있던 뚜안이 나랑 연락하면서 그 얘길 했다. '내가 잡혀서 문제가 되면 부모님이 큰일 난다. 남동생한테도 피해가 간다. 절대 안 된다'고 말했다." 유학생 뚜안 씨가 대구출입국·외국인사무소의 단속을 피하다 숨진 지난달 28일, 고인과 긴밀히 연락했던 친구 C 씨는 "뚜안이 3시간 내내 두려움과 공포에 떨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뚜안 씨는 가족에
단속 피하다 숨진 베트남 유학생…혈흔 본 아버지는 담요로 덮어주려 했다
[APEC 단속, 이주민의 죽음] 上 폭력적 단속과 뚜안 씨의 장례식
베트남 이주민 청년 뚜안(가명·25) 씨의 발인이 있던 지난 10월 31일, 그의 부모님은 노란 무릎 담요를 꼭 끌어안고 한나절 내내 통곡했다. 생전 뚜안 씨가 항상 두르던 담요였다. "못 보낸다. 내 딸 못 보낸다. 억울하다. 다음 생엔 내가 뚜안 딸로 태어날 거다. 다음 생에 또 만나자. 두 번이고 세 번이고, 계속 만나자. 혼자 외롭지 않게 내가 같
대림동 아이들이 대림시장서 외치다 "다름은 멋진 일이야!"
[현장] 극우세력 선동에 맞서는 힘, "우리 모두 여기 함께" 외친 아이들
"우리! 모두! 여기! 함께야! 워먼 또우 짜이 쭤리!" "다른 얼굴, 다른 성격, 다른 가족, 다른 고향, 우린! 모두! 달라!" 1일 오후 3시,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다사랑어린이공원에서 남녀노소 목소리가 뒤섞인 합창이 울려 퍼졌다. 대림동 주민과 '컬러 프라이드' 참가자 등 시민 60여 명이 한데 뒤섞여 노래 부르고 춤췄다. 노래를 주도한 건 초등학
인도네시아 파괴로 얻는 재생 전환…"니켈 기반 전환은 그린 워싱"
[토론회] "책임 채굴'? 한 번도 본 적 없다"... 인도네시아 주민들, 한중일에 '책임 채굴' 촉구
세계의 재생에너지 전환은 인도네시아 주민들의 고통 위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충전식 전지의 주요 원료인 니켈이 핵심 광물로 주목받으면서, 니켈 매장량이 풍부한 인도네시아에선 니켈 채굴·가공을 위한 투자가 급격히 확대됐다. 이 과정에서 심각한 환경파괴와 공중보건 위기, 인권 침해 등이 동반됐다는 것이다. 인도네시아 환경운동 단체 AEER의 미우
'10시 29분' 서울에 퍼진 1분 사이렌…3년 만에 대통령이 허리 숙여 사과했다
[현장] 이태원 참사 3주기 정부 첫 공식 참가, 이재명 "국가는 없었다"… 유족 "행동으로 보여 달라"
2022년 10월 29일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3년이 지나서야 정부 주최 차원의 첫 추모식이 열렸다. 정부의 첫 공식 초청을 받고 입국한 외국인 유족도 함께한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은 피해자와 시민을 향해 두 번 허리 숙여 "국민 생명 안전을 지켜야 할 국가는 없었다"고 사과했다. 29일 오전 10시 29분, 이태원 참사 날짜와 숫자가 같은 시각 서울
"한국 정부, 3년간 뭐 했나" 눈물 섞인 분노 터뜨린 이태원 참사 외국인 유족
윤석열 정부 이태원 참사 외면 눈물 질타 "왜 아직 진상을 모르나"… 여전한 고통·우울증 호소
10.29 이태원 참사 유족 카자흐스탄인 다미라 셰르니아조바 씨는 지난해 5월 '이태원 참사 특별법'이 통과된 사실도 제때 알지 못했다. 정부는 어떤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지, 참사 진상 조사는 되고 있는지, 한국 사회는 참사를 기억하고 있을는지 등의 질문만 가슴에 남은 채, 고립된 섬처럼 카자흐스탄에서 지난 2여 년을 보냈다. 다미라 씨는 이태원 참사 희
400kg 무대사고로 하반신마비된 20대 성악가, 그의 죽음이 말하는 것은?
무대장치 깔린 후 하반신 마비, 재활 희망에도 안타깝게 숨져… "산재 의무 가입, 불안정 노동 개선"
"재활을 시작하면 얼마나 돌아올지는 장담할 수 없지만, 그래도 돌아올지도 모른다는 의사의 말에 실낱같은 희망을 가지고 재활을 시작했고, 정말 죽을 힘을 다해 재활했습니다. 그와 동시에 그동안 살면서 잊고 지냈던 말씀을 듣기 시작했고, 기도를 하기 시작했고 찬양을 듣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아주 조금이지만 기적과도 같이 몸이 점차 회복하기 시작했습니다. 열심
'1.5도 억제' 이미 깨졌나… 의지 없는 부유국, 화석연료 계속 증대
기후변화 국제단체들 "이대로면 1.5도 상승 못 막아"… "매년 석탄화력 360기 폐쇄해야"
내달 개최될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30)를 앞두고 국제 기후변화 감시 기구들의 보고서가 연이어 발표되는 가운데, 상당수가 이대로는 파리협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기후 위기가 가속할 거란 경고를 내놨다. 주원인은 탄소 배출의 책임이 있는 주요 북반구 국가들의 소극적 의지와 부실한 계획 때문이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지난 16일 보고서를 내
'민간인 살해, 무력분쟁' 모잠비크 고통으로 살찌는 한국…"무슨 일 있는지 알아달라"
[인터뷰] '모잠비크 가스전' 막으려는 환경단체 JA 활동가 방한 "한국 금융, 모잠비크 고통돼"
"모잠비크에서 일어난 일이 한국에서도 일어났다면, 한국 기관들은 이렇게 투자했을까? 민간인 살해, 인권 유린 등 한국에서 절대 수용 못 할 문제는 모잠비크에서도 수용할 수 없다. 우린 다 똑같은 인간이다. '이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건 모잠비크에서 일어나는 모든 인권 유린 사태를 뒷받침하는 일이라는 걸 꼭 생각해 달라." 지난 22일 <프레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