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7월 27일 05시 36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손가영
bada@pressian.com
"이재명 반도체특별법엔 청소년·노동자 생명 안전이 없다"
반올림 등 "직업계고·청년 노동자, 안전망 없이 위험한 반도체 공장에 내몰려… 반도체특별법 즉각 중단"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업 중심의 특별법을 추진하고, 반도체고등학교를 추가 신설하겠다는 발표를 보며 실망감이 컸다. 산업경쟁력도 중요하지만, 그 산업을 지탱하는 사람의 생명과 인권이 우선시돼야 하지 않은가? 내 아들처럼 사회적 경험이 부족한 청소년과 초년 근로자들은 더 위험에 취약하다. 우리 아이들은, 우리는, 안전하게 일하
손가영 기자
김용균 이후 11명 더 죽었다… 이재명 정부의 답은?
[토론회] "지난 6년 정부 '김용균 과제' 외면이 김충현 죽음 불러"… "해상풍력 확대로 고용 보장" 제안도
2019년 5월 신서천화력발전소 50대 일용직 노동자가 37미터(m) 높이 크레인에서 떨어진 부품에 맞아 사망. 2020년 4월 신서천화력발전소 40대 하청 노동자가 전기설비 폭발 사고로 전신 화상을 입고 치료 중 2021년 7월 사망. 2020년 9월 태안화력발전소 1부두에서 일하던 60대 화물노동자가 석탄 하역기에 깔려 사망. 2020년 11월 영흥화력
김성환, '탈탄소' 한다면서 '정의로운 전환'엔 심드렁?
與 "21대 국회 때 관련 법안 폐기에 일조" 비판… 金 '탈원전' 정책에는 "과거 발언" 선 긋기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21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으로 있을 당시 석탄발전소 폐쇄 지역을 지원하는 특별법을 강력하게 반대해 법안이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야당은 김 후보자가 '탈탄소'를 외치면서도 '정의로운 전환'에는 관심이 없는 것이냐며 공세를 폈다. 국민의힘 김소희 의원은 15일 국회에서 열린 김 후보
공무원 협박, 폭행, 도박… 제천 지역 기자 2명, 법정 구속
기소 5년 만에 실형 선고… 재판부 "'조폭 출신' 위세 과시하며 공무원 협박"
공무원들을 협박하고 도박장을 열어 영리를 취한 혐의로 기소됐던 제천시 지역 기자 두 명이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됐다. 청주지방법원 제천지원 형사단독 김동원 판사는 지난 8일 협박, 강요, 폭행치상, 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기소된 조모 전 충청매일 기자, 김모 전 내외경제TV 기자 등에 대한 선고 공판을 열고 조 전 기자에겐 징역 1년을, 김 전 기자
폭염 오니 그리운 장마…올해 장마, 왜 이렇게 짧고 메말랐나
[분석] 장마는 매년 변화, 문제는 예측불가능성 증가…'폭염-가뭄 복합재해' 적신호
올해 장마는 유난히 일렀고 메말랐고 짧았다. 보통 6월 셋째 주나 넷째 주 무렵 제주에서 시작해 북상하지만, 이번 장마는 평년(30년 평균치)보다 7일 빠른 6월 12일 제주에서 시작됐다. 남부지방도 평년보다 5일 빠른 6월 19일 장마에 접어들었다. 기간은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짧았다. 50년 만의 최단 장마였다. 장마 종료 분석이 아직 끝나지 않
반도체 유해물질 누출…울산 온산국가산단 50대 노동자 사망
'피부 닿으면 사망'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 누출, 22일 만에 사망
지난달 울산 온산국가산업단지 내 반도체·첨단전자 산업 공정 화학물질을 제조하는 삼영순화 온산공장에서 급성 유해화학물질 누출 사고로 다쳤던 노동자가 입원 치료 중 사망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12일 독성물질인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TMAH) 누출사고로 병원에 후송됐던 삼영순화 온산공장 노동자 A(58) 씨가 4일 숨졌다. A 씨는 사고 당일 TM
산불 이재민에겐 국가가 없다
[인터뷰] 의성군산불피해주민 대책위 이장 박기 씨와 김경희 씨의 지난 3개월 이야기
경북 의성군 점곡면 사촌1리는 지난 3월 의성산불 피해를 직격으로 받은 마을이다. 소나무림으로 둘러싸인 윗마을은 집 열 채 중 아홉 채가 전소됐다. 박 이장도 윗마을 전소 피해 주민이다. 지난 4월 그를 만났을 땐 "우리 주민들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뭐라도 할 거다"라고 말했다. 두 달이 지난 후 그는 "우리가 스스로 목소리를 낼 수밖에 없단 걸 그동안
"'팔레스타인 집단 학살' 가담해 한국기업 이익 창출했다"
유엔 특별보고관 '집단 학살 경제' 명명 "너무 많은 기업이 집단학살로 이윤 창출"… HD현대, 두산이 한국 기업으로 이름 올려
유엔 팔레스타인 특별보고관이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집단 학살 및 불법 유대인 정착촌 건설을 뒷받침하는 상업 거래 구조를 분석한 결과 "너무나 많은 기업들이 이스라엘의 집단학살에 재정적으로 깊이 얽혀 있다"며 "이들에 대한 책임 추궁 없인 집단학살은 종식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특별보고관이 정리한 '팔레스타인 집단학살 관여 기업' 54개 명단엔 'HD현대'와
'가덕도 공항 반대' 종이 들고 대통령실 갔다고… 사지 들고 끌어내
"얘기 좀 들어 달라"며 걸어간 시민 과잉 진압한 경찰… "민주 정부라고? 차이 없다"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1인 시위 중이던 한 시민 활동가를 경찰이 과잉 진압해 논란이다. 이 활동가는 당시 국민의힘 의원들과 대통령실 관계자가 모여 있던 장소로 걸어가던 중, 경찰의 완력에 의해 사지가 들린 채로 끌어내려졌다. 녹색연합은 "'국민 주권 정부'를 표방하는 이재명 정부에서 벌어진 일이 맞느냐"고 규탄했다. 김현욱 가덕도신공항반대시민행동 집
초록 새살은 피어났지만... 산불 이재민 '피멍 든' 마음은 여전
[현장] 산불 피해 현장에 활엽수 맹아 곳곳... 지원·배상 사각지대 여전, 대책위 꾸려진 의성
두 달 전엔 시커멓게 탄 소나무와 잿빛 흙만 남아 있던 곳에 초록색 풀과 나무가 듬성듬성 돋아났다. 껍질과 기둥 아래만 그을린 활엽수들이 나무 머리에 초록색 잎을 회복했고, 탄 기둥만 앙상하게 남았던 소나무림 바닥에선 잡초와 활엽수 맹아가 싹을 틔웠다. 지난 29일 오전, 경북 의성군 단촌면 구계1리에서 만난 주민 김아무개(60대) 씨는 "푸른색을 영영
손가영 기자(=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