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8월 01일 21시 25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박근혜, 왜 지금 유엔에 가는가?
[서리풀 논평] 대통령이 유엔에 가는 이유
대통령이 유엔에 가는 이유 대통령이 추석 명절 기간인 이번 주말(25~28일) 외국에 나간다. 유엔에서 열리는 '유엔 개발정상회의'와 '제70차 유엔 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하는 것이다. 청와대 홈 페이지의 공지를 그대로 옮긴다. (☞관련 자료 : 대통령, '유엔 개발정상회의' 및 '제70차 유엔 총회' 참석) 9월 25~27일간 개최 예정
시민건강증진연구소
2015.09.21 07:30:12
문재인과 안철수는 답하라, "누구 편이냐?"
[서리풀 논평] 정당과 '혁신'의 앞날을 묻는다
정당과 '혁신'의 앞날을 묻는다 평범한 사람들이 현실 정치에 참여하는 거의 유일한 방법은 선거다. 또, 선거를 통해 정치 행위자인 정당을 만나기 때문에 그 때나 되어야 비로소 정당을 경험한다. 이것이 한국 정치와 정당의 현실이라면, 정당은 아직 일상이라 할 수 없다. 선거가 한참 남았는데도 정당(또는 정당이 되려는 세력)이 우리의 주의를 끌고 있다. 그 중
2015.09.14 07:42:08
세 살 쿠르디, 한강변에서 죽었다면…
[서리풀 논평] 한국의 난민 문제
터키의 한 해변에서 발견된 세 살 된 시리아 아이, 쿠르디. 9월 3일 국내 언론에 보도된 쿠르디의 사진은 차라리 비현실적이다. 붉은 색 셔츠의 작은 남자아이는 파도에 떠밀려온 인형처럼 해변 모래에 엎드려 있었다. 쿠르디의 죽음(정확하게는 몇 장의 사진)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 세계의 여론이 들끓었다. 유럽 여러 나라가 난민 수용 정책을 바꾸는 계기가 될
2015.09.07 09:01:41
2024년, 우리는 그날을 기억할 수 있을까?
[서리풀 논평] 카트리나 10주년, 세월호와 메르스는?
카트리나 10주년, 세월호와 메르스는? 2005년 8월 29일, 강력한 허리케인인 카트리나가 미국 루이지애나 주의 뉴올리언스를 휩쓸고 지나갔다. 2015년 8월 29일, 이제 꼭 10년이 지났고 미국 전체가 10주년을 기억하느라 분주하다. 8월 27일에는 오바마 대통령이 직접 현지를 방문해 주민들을 만나고 연설했다. 대통령까지 나설 정도니 이 일이 얼마나
2015.08.31 07:55:13
전쟁 나면 다 죽는다. 그들만 빼고…
[서리풀 논평] 전쟁의 질병, 평화의 건강
전쟁의 질병, 평화의 건강 이 글을 쓰는 이 시각까지, 아슬아슬한 평화는 되돌아오지 않았다. 마지막 순간에 남북이 마주 앉았고 토요일 시작한 협상은 길게 끌었다. 일요일 오후에 다시 회담을 해봐야 알 수 있다니 더 기다려야 한다. 그만해도 상황이 더 나빠지지 않을 것을 예상하고 또 희망한다. 문제는 이번 일이 끝이 아니라는 점이다. 우리가 봐도 지금 한반도
2015.08.24 08:27:18
"박정희는 건강보험의 아버지가 아니다"
[서리풀 논평] 보통 사람들이 만드는 역사
보통 사람들이 만드는 역사 임시 공휴일까지 만들어 지냈으니 광복 70주년을 평범하게 기념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공휴일을 하루 늘리기까지 했으나 그건 그리 중요하지 않다(경제 활성화라는 명목을 붙여 종잡을 수 없게 되었다). 겉보기에 보통 때보다 더 큰 행사와 더 많은 특집 방송 이상의 의미는 무엇일까. 아무래도 그건 '역사'다. 광복이 일제로부터의
2015.08.17 08:10:47
'의사' 정진엽이 사는 길, "아무 것도 하지 마라!"
[서리풀 논평] 새 보건복지부 장관에 바란다
새 보건복지부 장관에 바란다 새로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발표되었다. 처음부터 적격인지를 두고 시비가 있었지만 앞으로의 검증 과정도 험난할 것이다. 인사 청문회까지 2~3주의 시간이 더 있을 테니 끝까지 견뎌낼지 두고 봐야 한다. 그러나 이 정부의 전례를 보면 '기정사실'이다. 어지간한 사고나 스캔들로는 여당이나 임명권자의 결정을 바꾸지 못할 터, 당연히
2015.08.10 08:19:43
박근혜 정부, 어쩌면 청년 실업이 반갑다?
[서리풀 논평] 반복되는 일자리 정책, 준비된 실패
반복되는 일자리 정책, 준비된 실패 좋은 일자리가 더 많이 필요하다는 것에 (부분적으로) 동의한다. 청년 실업이 심각하다고 한지가 언제며 비정규 노동을 시비한 지가 도대체 얼마인가. 오죽하면 삼포세대니 열정 페이니 하는 노동의 특징이 한 시대를 풍미하는 유행어가 될까. 시대의 불안이 이런 만큼, 정부도 일자리 만들기, 그 중에서도 청년 고용이라는 과제를 외
2015.08.03 06:43:07
해킹 사태, 결국 '빅 시스터'만 웃는다
[서리풀 논평] 감시 사회, 통제 사회를 살아내는 자세
감시 사회, 통제 사회를 살아내는 자세 국가정보원의 해킹 프로그램 사건에 놀라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국정원이 하는 일은 모두가 옳다는 '애국 시민'을 제외하더라도, 일반적인 반응은 분노보다는 체념 비슷한 것이 아닌가 싶다. 드러나지만 않았지 "내 그럴 줄 알았다"는 쪽이 많다. 대통령 선거에 댓글로 개입하거나 간첩 조작 사건을 일으켜 처벌을 받을 정도니
2015.07.27 06:31:54
<조선일보>는 왜 나이팅게일을 소환했나?
[서리풀 논평] 언제까지 희생과 봉사만 강조할 것인가
언제까지 희생과 봉사만 강조할 것인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대란은 공포를 불러온 만큼이나 '미담'을 양산했다. 위험 앞에서 두려움을 이기고 스스로의 이익을 포기하는 것은 칭찬 받을 만하다. 어느 정도까지는 개인의 이타적인 행동이 좋은 사회를 만든다는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 특히 일선에서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한 의료인들의 노력이 컸다. 충분한 정
2015.07.20 08:0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