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7월 26일 19시 4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美전문가들 "트럼프가 핵합의 파기 안했으면 이란-이스라엘 전쟁 없었을 것"
"혼란 자초 뒤 '내가 구세주' 나선 꼴" 비판…백악관 "오바마 끔찍한 합의, 트럼프 모든면에서 옳다" 반박
미국이 이란 핵시설 폭격은 국제 안보를 위한 정당한 조치였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18년에 '이란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일방적으로 파기하지 않았다면 없었을 일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22일에 있었던 미군의 이란 핵시설 공격은 트럼프 대통령이 과
연합뉴스
2025.06.29 14:20:52
이중 갈취로 '홀로캐시'(holocash) 뜯어낸 유대인 파워의 민낯
[김재명의 전쟁범죄 이야기 124] 독일의 전쟁범죄-홀로코스트 52
1960년대 미국은 북베트남을 마구 폭격해 "한 국가를 석기시대로 되돌려놓았다"는 말을 들었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석기시대'로 돌려놓더니, 이란을 전폭기로 기습 공격했다. '중동의 깡패국가'(rouge state, 불량국가)란 소릴 듣는 이스라엘이지만, 이즈음 유대인 파워는 최전성기를 누리는 듯하다. 미국의 트럼프는 (2024년 11월21일
김재명 국제분쟁 전문기자
2025.06.29 09:35:33
실업수당, 영국은 빵도 주고 웃음도 주더라…한국은?
[김성수의 영국이야기] 실업수당, 영국 vs. 한국
지난 35년간 영국에서 살고 있다. 영국 여성과 결혼해 애 낳고 살며 느낀 점이 '밤하늘의 별'만큼 많다. 자녀들은 초·중·고·대학교를 영국에서 나와 지금은 다 독립해서 행복하게 살고 있다. 아무리 영국에서 행복하게 지내고 있어도, 나는 자주 한국이 그립다. 한국의 문화, 냄새, 심지어 소음까지도 그립다. 전에 가족과 함께 한국에 갔다. 그런데 한국에 머무
김성수 <함석헌 평전> 저자
2025.06.28 21:04:04
미, 관세 유예 연장 가능성…관세 폭탄에도 무역 협정 체결 1건에 불과한 상황 반영된듯
백악관 관세 유예 시한 "아마도 연장될 수 있다"…트럼프 "중국과 무역 협정 서명" 주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 관세 유예 기한으로 7월 8일을 제시했지만, 백악관이 이를 연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영국 외에 무역 협정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26일(이하 현지시간)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상호 관세 유예 기한 날짜인 7월 8일에 대해 "시한은 중요하지 않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해
이재호 기자
2025.06.27 21:14:22
트럼프, 이란 핵 시설 공격을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에 비유…일본 "역사 평가는 전문가가"
나토 정상회의, 국방비 GDP의 5%까지 늘리기로…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규탄 문구 빠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해 미국의 이란 핵 시설 공격을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핵무기를 투하한 것에 비유했다. 일본은 이에 대해 역사에 대한 평가는 전문가가 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26일 일본 <아사히신문>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관방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2025.06.26 21:27:52
트럼프 주말 이란 공습에 지지율 하락…미국인 절반 이상 공습에 반대
민주·공화당 지지자에 따라 응답 엇갈렸지만 군 동원에 의회 승인 받아야 한다는 응답 60% 넘어
트럼프 대통령의 이란 핵 공격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인 절반 이상이 공습에 반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잇따라 발표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두 번째 임기 시작 이후 가장 낮은 국정 수행 지지도를 기록했다는 조사도 나왔다. 24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방송 CNN이 여론조사기관 SSRS와 미국의 공격 이후인 지난 22~23일 미국 성인
2025.06.25 20:00:05
이란 핵 시설 '완전히 파괴'했다는 트럼프, 또 거짓말? CNN "핵심 시설, 농축 우라늄 그대로"
이스라엘도 "포르도, 예상보다 적은 피해 발생했다고 결론"…백악관 "한심한 하위 직원이 정보 유출" 격앙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 핵 시설을 완전히 파괴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 핵심 구성 요소를 없애지는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인 다수의 부정적 여론 속에도 공습을 강행했지만 군사적 부문에서의 효과를 거두지 못한 셈이다. 24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방송 CNN은 미국의 이란 공격에 대해 브리핑을 받은 7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 주말 미군이 이란
2025.06.25 13:58:26
이란 정권 없애겠다던 트럼프 "이스라엘-이란 완전하고 전면적인 휴전 합의"…이란·이스라엘도 수용
이란의 미군기지 공격에도 "사전에 통보해 준 점에 감사…인명피해 없이 상황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긍정 평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앞으로 24시간 내에 이란과 이스라엘의 전쟁이 종식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란이 카타르와 이라크 미군 기지에 대해 미사일을 발사하며 보복한 데 대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이 사전에 통보했고 매우 약한 대응을 했다면서 감사하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23일(이하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
2025.06.24 11:46:21
트럼프, 네타냐후 닮아가나…부통령·국무장관은 아니라는데 이란 '정권교체'까지 언급
트럼프 핵 시설 공격, 위헌적이라고 지적한 공화당 하원의원에 "내쫓아야 한다" 격앙된 반응 보여
이란을 공격한 미 정부 당국자들이 더 이상의 공습이 없다며 상황 안정에 나섰지만, 이들의 입장 발표가 무색하게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란 정권 교체를 언급하면서 강경한 태도를 이어가고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미국으로부터 어떤 대가도 받지 않았다면서, 가자지구에 대한 공격도 계속할 수 있다고 밝혔다. 22일(이하 현지시간) 트럼프
2025.06.23 14:35:07
미국의 이란 공격, 불똥 한국으로? 이란 의회, 호르무즈 해협 봉쇄 결정…최종 결정은 최고국가안보회의서
한국 수입 원유 70% 들어오는 해협, 유가 80% 이상 급등할 수도…미국 "이란, 해협 봉쇄는 자살행위"
이란이 미국의 핵 시설 공격에 대한 대응으로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해협으로 원유의 70% 정도를 수입하는 한국은 원유 가격 인상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22일(이하 현지시간) 이란 국영 프레스 TV는 "이란 의회는 이란의 평화적 핵 시설에 대한 미국 공격에 대한 단호한 대응으로 전략적으로 중요한 호르무즈
2025.06.23 01:01:39